(단독) 국방부 내부신고자 보호 강화 방안 모색 (한국부패학회보, 2018.6) 등재후보지
(박흥식, 이지문) The influence of media, positive perception, and identification on survey-based measures of corruption (BUSINESS ETHICS-A EUROPEAN REVIEW, 2017.7) SSCI급
(이지문, 권자경) 주민참여예산제도 효과의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서울시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2017.6) 등재지
(권자경, 이지문) 주민참여예산제도가 부패방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부패학회보, 2015.5) 등재지
(박흥식, 이지문, 장용진) 내부고발 정책 네트워크의 인지적 구조 : 주요 행위자 간 정보의 영향 및 의존의 관계 (한국부패학회보, 2013. 9) 등재지
(이지문, 장용진) 한국과 캐나다의 내부고발자보호법 비교 연구 (한국부패학회보, 2013.3) 등재지
(박흥식, 이시영, 이지문) Predicting Employees’ Intent to Confront and Stay Silent about Wrongdoing: Are Kohlberg’s Six Stages of Moral Development Significant? (한국부패학회보, 2012. 6) 등재지
(박흥식, 이시영, 이지문) Effects of Moral Development on Employees’ Intent to Report Wrongdoing in an Organization (한국부패학회보, 2012. 3) 등재지
(단독) 내부고발운동 평가와 향후 발전 방향 모색 (한국부패학회보, 2012. 3) 등재지
(이상윤, 박흥식, 이지문) 비윤리적 행위의 인지와 인구통계학적 요인과의 관계 : 행위 분야별 차이 (한국부패학회보, 2006. 9) 등재지
(단독) 시민의회는 직접민주주의인가, 대의민주주의인가? (시민과 세계, 2018. 6) 등재후보지
(오수길, 이지문) 정부 신뢰를 위한 공론조사의 활용 가능성 (한국부패학회, 2017 6) 등재후보지
(단독) 추첨민회 도입을 통한 양원제 개헌 모색 (사회이론, 2017 6) 등재지
(단독) 광장정치와 제도정치의 보합으로서 추첨시민의회 모색 (NGO연구, 2017. 4) 등재후보지
(최선, 이지문) 법관 선임제에 대한 비판적 검토 (동서연구, 2014. 6) 등재지
(김종철, 이지문) 공화적 공존을 위한 정치개혁의 필요성과 조건 (세계헌법연구, 2014. 4) 등재지
(민영수, 이지문) 자본주의 대안체제로서의 공선사회 모색 : 협동조합과 추첨민주주의를 중심으로 (사회이론, 2013. 11) 등재지
(단독) 민주주의 가치 구현을 위한 추첨제 의회 모색 (대한정치학회보, 2012. 2) 등재지
(책임) 신재민, 김태우 사례를 통해 본 내부고발 보호 과제 연구 (2020.05 권은희 국회의원실)
(책임) 국회의원 행동강령 제정 및 윤리심사기구 개선에 관한 연구 (2020.5 권은희 국회의원실)
(책임) 경상대학교병원 반부패 수범사례 개발・확산을 위한 청렴컨설팅 연구 보고서 (2018.11)
(이지문, 장진희) 한국연구재단 청렴 및 부패 수준 진단 용역 보고서 (2017.11)
(서재권, 이지문) 반부패개혁입법의 과제와 제도화 방안 보고서 (2017. 10, 국회사무처)
(책임) 전남 영암군 상위직 부패위험성 진단용역 보고서 (2016. 5)
(책임) 전남 고흥군 상위직 부패위험성 진단용역 보고서 (2014. 5)
(책임) 내부고발자 인권실태 보고서 (2013. 11, 국가인권위원회)
(최진욱, 이지문, 장용진) 외국인 대상 청렴교육 콘텐츠 개발 보고서 (2013. 6, 국민권익위원회)
(박흥식, 이지문, 임병연) 공익신고자보호법 개정안 마련 등 발전방안 정책연구용역 보고서 (2012. 6 국민권익위원회)
(엄기열, 이지문) 독자 시청자 권익제도 운영실태 및 평가보고서 (2017. 12, 언론재단)
(박흥식, 이지문, 권한용, 이종영) 대륙법계 국가 보호보상제도 연구 용역 (2004. 11, 부패방지위원회)
(박흥식, 이상수, 이지문) 각국의 부패행위 신고자 보호 보상제도에 관한 비교연구 (2002. 10, 부패방지위원회)